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슬리드
- h2:~/test
- gradle관계
- gradle의존관계
- in-memory
- assertion
- localhost:8082
- assertThat
- H2
- 인텔리제이키맵 #이클립스키맵 #이클립스단축키
- 로컬브랜치삭제
- REST API
- 소스트리
- isequalto
- RESTful
- 의존트리
- 의존성관계
- gradle
- maven
- 의존관계
- test not found
- Today
- Total
봄날의 로그
(1) 스프링 핵심 원리 이해 본문
https://start.spring.io/ 접속하여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자
start.spring.io 사이트에서 스프링 부트 2.x 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다.
* 주의! 스프링 부트 3.0 이상, JDK 17을 사용해야 한다.
스프링 부트 3.0 버전 사용시, 아래 내용 확인!
- Java 17 이상
- javax 패키지 명이 jakarta로 변경
ex) 스프링에서 자주 사용하는 @PostConstruct 애노테이션
-> javax.annotation.PostConstruct -> jakarta.annotation.PostConstruct
스프링에서 자주 사용하는 검증 애노테이션
-> javax.validation -> jakarta.validation
스프링 부트 3.0 관련 더 자세한 내용은 https://bit.ly/springboot
윈도우에서 InteliJ로 Preference를 찾으려 해도 못찾을 것이다.
File > Settings = Preference
'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test코드에서 In-Memory DB 사용하기 2 (0) | 2024.12.16 |
---|---|
[Spring Boot] test코드에서 In-Memory DB 사용하기 (1) | 2024.12.16 |
[Spring Boot] SpringDoc OpenAPI 사용하기 (0) | 2024.12.10 |
[InteliJ] JUnit5 테스트 파일 생성 단축키, 실행 (0) | 2024.12.02 |
Assertion, assertThat, isEqualTo (0) | 2024.12.02 |